어렸을 때 막연하게 돈 많이 버는 직업을 갖고 싶다는 생각에 펀드매니저를 꿈꾸었던 때가 있었습니다. 정확하게 어떠한 업무를 맡고 어떠한 시스템을 갖추었는지도 모른채 말이죠.
하지만 아직까지도 이같은 관심사는 여전한가 봅니다. 요즘에는 인터넷이 워낙에 활발해져서 인플루언서, 유튜버 등 아주 다양한 직업군이 생겨났는데요.
하지만 평균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봉 많이 받는 업종은 역시 금융보험업으로 나타났습니다. 이 돈 많이 버는 직업 및 직종에 속하는 사람들의 평균 근로소득이 가장 낮은 업종과의 차이가 무려 5.3배에 달한다고 하는데요.
우선, 우리나라 근로소득자 1인 평균 급여는 연 4,024만원으로 산출이 되었습니다. 업종별로 따졌을 때 급여 많이 받는 업종인 금융보험업 직업군의 평균 1인당 급여는 8,914만원으로 가장 높다고 합니다.
그 외에도 전기가스수도업(7,418만원), 광업(5,530만원), 제조업(4,874만원), 부동산업(4,603만원) 등의 직종에서도 평균적으로 연봉 많이 받는 업종에 속한다고 합니다.
위와 같은 통계데이터는 국세청에서 평균 직종으로 따져보았을 때 나타난 데이터이며, 돈 많이 버는 직업 순위로 따져보았을 때 간략하게 50위까지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.
위 이미지는 직업 군으로 따져보았을 때 돈 많이 버는 순위입니다. 출처가 확실하지 않아 참고용으로만 확인하시면 좋을듯 합니다. CEO가 당연히 압도적으로 높고, 그 외에는 대부분 전문직(의사/판검사)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
결국에는 연봉 많이 받는 업종을 선택하고 싶다면 사업을 하거나, 의사, 판사, 검사, 항공기조종사 등 전문직종으로 진로를 선택해야 어렸을 때 큰 야망에 부푼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.
별개로, 잡코리아,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표한 데이터는 또 디테일하면서도 상이한 결과가 나오는데요.
◎ 잡코리아
1위 : 연구개발 및 설계(4,429만원)
2위 : 건설업(4,325만원)
3위 : IT 및 인터넷(4,123만원)
4위 : 마케팅/광고/홍보(3,873만원)
5위 : 경영/사무(3,782만원)
6위 : 생산 및 제조(3,739만원)
7위 : 무역 및 유통(3,739만원)
8위 : 영업 및 고객상담(3,510만원)
9위 : 전문직 및 특수직(3,510만원)
10위 : 디자인(3,450만원)
◎ 한국고용정보원
1위 : CEO(19,043만원)
2위 : 성형외과의사(13,863만원)
3위 : 한의사(12,327만원)
4위 : 정신과의사(12,287만원)
5위 : 내과의사(12,176만원)
6위 : 안과의사(12,037만원)
7위 : 외과의사(12,003만원)
8위 : 소아과의사(11,649만원)
9위 : 이비인후과의사(11,507만원)
10위 : 산부인과의사(11,420만원)
어느정도 위 데이터들 몇몇은 겹치는 것을 보면 어느정도 평균치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데요. 이렇게 알아보다보니, 만족도 높은 직업 순위도 나와있어서 진로 선택을 함에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1위 : 대학교수
2위 : 안과의사
3위 : 이비인후과의사
4위 : 정신과의사
5위 : 한의사
6위 : 피부과의사
7위 : 행정부고위공무원
8위 : 내과의사
9위 : 중고등학교교장 및 교감
10위 : 초등학교교장 및 교감
직업 만족도 내에서도 의사 전문직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이 되었는데요. 아무래도 금융 치료가 되다보니 만족도에 있어서도 높은 편에 속하나 봅니다. 1위인 대학교수는 아무래도 지위에 따른 명예가 뒷밤침되고 있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.
'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리랜서 사업소득 기타소득 차이점 확인하기 (2) | 2023.11.08 |
---|---|
무주택세대주 우선공급제 선순위 조건 및 요점 파악하기 (1) | 2023.10.23 |
부가가치세 예정고지 대상 예정신고 확정신고 차이(feat. 과세기간) (0) | 2023.10.18 |
대통령 집무실 2019년에 광화문으로 옮겨질 계획 (0) | 2017.08.07 |
전세계약 만료전 이사 할 때 체크해야 할 사항 (0) | 2017.04.22 |